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현장실습 보고서 작성 예시 저는 이렇게 썼어요, 어렵지 않아요

by 왕선영 2025. 5. 21.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현장실습을 다녀오고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온라인으로 수업을 수강하고, 마지막으로 현장실습까지 다녀와야 하는 과정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꼭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열심히 시간 쪼개어 다녔습니다. 현장실습 후 보고서를 작성해 내라는데 처음에는 막막하고, 어떻게 해야 하나 싶어서 기존의 선배님들이 써놓으신 여려 분야의 실습처에서의 보고서를 참고하여 저도 열심히 작성해서 제출했고,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드디어 현장에 투입, 실습시작!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가장 부담이 되었던 것은 바로 현장실습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이론 수업은 온라인으로 내가 가능한 시간에 쪼개어 들을 수 있었지만 현장실습은 정해진 시간에 다소 긴 기간 동안 나가서 익혀야 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실습처도 각자 자기 능력으로 구해서 나가야 하기 때문에 여러 곳에 문의도 해보고, 해당 시설에서 실습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돈"도 물어보고 하는 등 나름 바빴습니다. 현장에 나가 직접 활동해야 한다는 생각에 당연히 마음이 편치 않고 걱정이 앞섰습니다.

하지만 실습은 자격 요건을 채우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었고, 지금 돌이켜보면 꼭 필요한 경험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

.

 

실습처는 이렇게 정했어요

 

저는 지역아동복지센터에서 총 80시간의 현장실습을 했습니다. 코로나 시국은 지났지만 그래도 그 끝자락 언저리였던지 필수 160시간에서 절반은 현장실습으로, 나머지 절반인 80시간은 "간접실습관제"를 완료하는 것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실습처는 학과 게시판과 온라인 교육센터 실습지원센터 정보를 참고해서 찾았고, 다닐 수 있는 범위의 시설을 정한 뒤 직접 연락하여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실습비로는 시설별로 달랐지만, 20~30만 원 정도를 말씀하셨었습니다. ^^;

미리 관심분야를 정해 두면 훨씬 수월하게 실습처를 선택할 수 있지만, 가능한 지역과, 시간 등을 고려하다 보면 노인, 장애인, 아동 등의 분야를 따지지 않고 우선 가능한 선택지에 무조건 지원하게 되더라구요. 인기 있는 기관은 빨리 마감이 되는 터라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실습처에는 어떤 일을 하나요?

실습은 그저 구경나가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저는 지역아동복지센터에서 실무 업무에 보조로 참여하면서 여러 가지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들과의 교감, 프로그램 진행 보조, 서류 정리, 참관 등 작지만 중요한 일들을 함께 하며 사회복지사의 실제 역할과 고민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매일매일이 새롭고, 때로는 버겁고, 가끔씩은 흐뭇한 순간도 있었습니다. 

.

.

 

보고서 작성은 이렇게 했어요

실습이 끝난 뒤에서 온라인 교육업체에서 주시는 기본 양식에 맞춰 실습일지 작성이라는 중요한 마지막 임무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부담 백배였지만, 미리 미리 준비하면 어렵지 않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실습 중간 중간 스마트폰 메모장에 그날 그날 한 일, 느낀 점, 주요 사건들을 메모해 두었습니다. 처음 며칠은 실습 후 바로바로 실습일지를 적었지만, 그도 시간이 좀 지나니 미뤄두고 한꺼번에 써야겠다는 꾀를 부리게 되더라고요. 그래도 중간중간 메모해 놓은 것이 큰 도움이 되어 실습일지 작성에 무리가 없었습니다. 

실습일지는 "좋았다", "엉망이었다" 의 흑백논리의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무엇을 했는가? 무엇을 배웠는가? 무엇을 느꼈는가? 현장에 사회복지사로 직접 투입이 되었을 때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까 등등을 구체적으로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두가 실습일지는 처음일테니 다 거기서 거기였던 보고서들이 수두룩했습니다. 저의 것도 마찬가지겠고요. 

어찌어찌 써서 제출해서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다시 한번 쓰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정리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실습목표  ->  기관소개  ->  실습내용요약  ->  느낀 점  ->  나의 변화  ->  향후 계획

형식적인 내용만 겨우 맞춰 쓰기보다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진심 어린 경험과 고민을 담아 보는 것이 현장실습 보고서의 완성도를 높여줄 것입니다. 

.

.

 

실습을 마치며 나의 소회

처음엔 두렵기만 했고, 한켠으로는 귀찮기도 했던 실습이었지만, 마치고 나니 마음속에 참 많은 여운이 남았습니다. 시원섭섭함이 딱 맞는 표현이기도 했고요. 책에서 배우던 이론이 현장에서 사람을 만나 그 사람들을 통해 살아 움직이는 경험이 되었고, 그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현장실습은 아동복지센터에서 했던 저는 2년동안 노인복지시설(요양원, 주간보호센터)에서 근무하게 되어 전혀 다른 분야의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2년의 경험에도 아직 부족한 것 투성이이지만. 현장실습을 나간 경험이 적은 경험과 토대가 되어 사회복지사라는 커 리에에 대한 책임감을 조금은 얻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

.

 

 

마무리 정리_사회복지사 현장실습을 앞둔 분들께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 실습을 앞두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매 순간을 배우는 기회로 삼으시길 바랍니다. 복장은 단정하게, 태도는 성실하게, 그리고 매일의 경험을 그냥 흘려보내지 마시고, 잘 메모해두시는 습관, 그리고 정말 중요한 교훈이 있다면 마음속에 저장~~~ 메모 습관으로도 충분히 보고서 작성이 수월해졌던 경험에 비추어 추천하는 바입니다. 

.

.

참고사항

부족하지만 제가 쓴 사회복지사 현장실습 보고서를 올려둡니다. 어찌 써야할 지 막막한 분들께 참고용으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위 글에서 언급해드렸듯이 저는 80시간짜리 현장실습을 다녀왔기 때문에 나머지 80시간에 대한 간접실습에 대한 과제는 다음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일지_160시간.hwp
0.77MB

 

 

* 사회복지사 2급 취득 시 간접실습 과제 실제 후기글은 다음을 참조해주세요~

https://wang-sun-young.tistory.com/35